BSD 및 OpenSolaris 파생 운영체제 타임라인

  • 1993년 3월: BSDi에서 상업용 UNIX인 BSD/386 1.0 발표 (BSD/OS – Wikipedia). BSD/386(후에 BSD/OS)은 Bill Jolitz의 386BSD와 UCB 4.4BSD-Lite 코드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Intel 386 호환 PC용 상업 서버 운영체제로 라이선스 판매되었다 (BSD/OS – Wikipedia). 이 시스템은 모놀리식 커널 구조를 사용하며, 1995년 “BSD/OS”로 리브랜딩되었다. BSD/OS는 풍부한 man 페이지 문서와 시스템 V 호환 기능을 제공했으며, 2004년에 제품 판매 종료(2018년까지 지원)되었다 (BSD/OS – Wikipedia) (BSD/OS – Wikipedia).
  • 1993년 4월: NetBSD 0.8 첫 공개 (NetBSD – Wikipedia). NetBSD 재단이 개발한 NetBSD는 초기 386BSD 0.1 패치와 UCB 4.3BSD-Reno 코드를 기반으로 했으며, 386/NetBSD 커뮤니티에서 분기하여 탄생했다 (NetBSD – Wikipedia). 이 운영체제는 다중 아키텍처 이식성에 초점을 두어, 모놀리식 커널(모듈 로딩 가능)과 pkgsrc 패키지 시스템을 사용한다. 네트워크 스택이 강력하여 라우터, 방화벽, 임베디드 시스템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되며, 현재도 활발히 유지되고 있다 (NetBSD – Wikipedia).
  • 1993년 12월: FreeBSD 1.0 첫 공개 (Chapter 1. Introduction | FreeBSD Documentation Portal). FreeBSD 프로젝트가 발표한 FreeBSD 1.0은 4.3BSD-Lite(“Net/2” 개발판)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으로, 범용 서버·임베디드용으로 설계되었다 (Chapter 1. Introduction | FreeBSD Documentation Portal). 모놀리식 커널을 사용하며 성능이 우수한 TCP/IP 네트워킹과 ZFS 파일시스템 지원을 특징으로 한다. FreeBSD는 Ports 컬렉션과 pkg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광범위한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제공한다.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개발되며, 스케일아웃 서버부터 네트워크 장비, 임베디드 디바이스까지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Chapter 1. Introduction | FreeBSD Documentation Portal).
  • 1996년 7월: OpenBSD 1.2 첫 출시 (OpenBSD — Run BSD). OpenBSD는 Theo de Raadt를 중심으로 NetBSD 1.0에서 분기하여 만들어진 보안 지향 BSD다 (OpenBSD — Run BSD). 최초 소스코드는 1995년 10월 공개되었고, 1996년 7월 1.2 버전이 나왔다 (OpenBSD — Run BSD). OpenBSD는 코드 감사와 보안 기능 강화가 핵심이며, 자체 구현한 pf 방화벽, OpenSSH, LibreSSL(당시 개발) 등을 포함한다. 모놀리식 커널 구조이며, IPv6와 암호화 기능이 기본 활성화되는 등 보안 특성이 강하다. 전용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며, 현재까지도 6개월 주기의 정기 릴리스를 통해 활발히 유지된다 (OpenBSD — Run BSD).
  • 2004년 7월: DragonFly BSD 1.0 첫 출시 (DragonFlyBSD: history) (DragonFlyBSD: releases). Matthew Dillon이 FreeBSD 4.8 코드를 포크해 만든 DragonFly BSD는 원래 FreeBSD 4.x의 논리적 연속을 표방했다 (DragonFlyBSD: history). DragonFly BSD는 분산 클러스터링 지원과 캐시 일관성 등의 목표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HAMMER 파일시스템(이력형 타임트래블 기능)과 “토큰” 동기화 메커니즘을 구현하였다. 하이브리드 커널(hybrid kernel, DragonFly에서 동기화 및 SMP 처리 방식이 혁신적) 구조를 취하며, 모든 비-베이스 시스템 앱 관리는 NetBSD의 pkgsrc를 채택해 통합한다 (DragonFlyBSD: history) (DragonFlyBSD: releases). 현재도 고성능 멀티코어 서버 등에서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 2005년 10월: FreeNAS 0.x (현 TrueNAS Core) 공개 (TrueNAS – Wikipedia). Olivier Cochard-Labbé가 시작한 FreeNAS 프로젝트는 FreeBSD 6.0 기반의 NAS(Network Attached Storage) 운영체제로, m0n0wall 방화벽과 FreeBSD 코드를 결합해 개발되었다 (TrueNAS – Wikipedia). ZFS 파일시스템을 중심으로 iSCSI/SAN, CIFS/NFS 파일 공유, RAID, 디스크 중복 제거 등의 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FreeBSD Jail을 이용한 가상화 및 애플리케이션 플러그인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며, 2018년 이후 TrueNAS Core로 이름이 변경되어 iXsystems에서 BSD 라이선스로 개발을 계속하고 있다 (TrueNAS – Wikipedia).
  • 2006년 4월: PC-BSD 1.0 출시 (PC-BSD 1.0 Released – OSnews). iXsystems가 개발한 PC-BSD는 FreeBSD 6.0 기반의 데스크톱용 BSD 배포판이다 (PC-BSD 1.0 Released – OSnews). KDE 데스크톱을 기본 제공하고, PBI(Push Button Installer) 패키징 시스템을 통해 윈도우 스타일의 쉬운 소프트웨어 설치를 지원했다. 2016년에는 이름을 TrueOS로 바꾸었으나, 기본적으로 FreeBSD 커널과 사용자 영역을 그대로 유지했다. 2018년 개발이 중단되었으며, 소스는 공개되어 있다 (PC-BSD 1.0 Released – OSnews) (TrueOS Discontinuation – TrueNAS).
  • 2006년 10월: pfSense 1.0 출시 (pfSense – Wikipedia). Rubicon Communications(Netgate)가 시작한 pfSense는 FreeBSD 기반의 오픈소스 방화벽/라우터 소프트웨어다 (pfSense – Wikipedia). m0n0wall에서 파생되었으며, 웹 기반 GUI를 통해 설정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내부적으로는 OpenBSD의 PF(packet filter) 방화벽 엔진을 사용하며, 트래픽 쉐이핑, VPN(IPsec/PPTP), 캡티브 포털, VLAN, 다이내믹 DNS 등 다양한 네트워크 기능을 지원한다 (pfSense – Wikipedia). Apache 2.0 라이선스로 제공되며, 커뮤니티 버전(pfSense CE)과 상용 지원 버전이 있다. 꾸준한 업데이트로 기업용 방화벽, 홈 네트워크 라우터 등 다양한 환경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pfSense – Wikipedia).
  • 2009년 11월: GhostBSD 1.0 베타 공개 (A Brief History of GhostBSD – GhostBSD Wiki). Eric Turgeon이 시작한 GhostBSD는 FreeBSD 기반의 데스크톱 라이브 시스템으로, 그래픽 설치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사용자 친화성을 강조한다 (A Brief History of GhostBSD – GhostBSD Wiki). 초기 개발은 FreeBSD 7.2를 기반으로 GNOME 데스크톱 환경을 탑재한 형태로 시작되었고, 이후 MATE 등으로 GUI가 바뀌었다. FreeBSD의 pkg 패키지 시스템과 Ports 컬렉션을 사용하며, 데스크톱 사용자를 위한 USB 라이브 부팅 이미지 등을 제공한다. 현재까지도 업데이트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A Brief History of GhostBSD – GhostBSD Wiki).
  • 2010년 8월: illumos 프로젝트 출범 (Illumos – Wikipedia). 오라클이 OpenSolaris 프로젝트를 중단한 후, 주요 Solaris 개발자들이 모여 순수 오픈소스 Solaris를 구현하기 위해 Illumos를 발표했다 (Illumos – Wikipedia). Illumos(리눔오스)는 OpenSolaris를 기반으로 클로즈드 소스 부분을 오픈 소스 구현체로 대체하여 개발되는 운영체제로, CDDL 라이선스 하에 커널, 디바이스 드라이버, 시스템 라이브러리 및 관리 유틸리티를 포함한다 (Illumos – Wikipedia). ZFS, DTrace, Solaris Zones(컨테이너), Crossbow 네트워크 가상화 등 OpenSolaris의 핵심 기술을 계승하며, 현재도 여러 Illumos 기반 배포판의 공통 기반으로 활용된다 (Illumos – Wikipedia).
  • 2010년 9월: OpenIndiana 첫 발표 (OpenIndiana – Wikipedia). OpenIndiana는 Alasdair Lumsden가 이끈 Illumos 기반 배포판으로, Oracle의 OpenSolaris 중단 후 Solaris 10 오픈 소스 코드를 이어받아 개발되었다 (OpenIndiana – Wikipedia). IPS(pkg) 패키지 시스템을 사용하며, GNOME 또는 MATE 데스크톱 환경을 제공한다. 대체로 Solaris 10의 기능을 무료로 유지·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용 OS로 활동 중이다 (OpenIndiana – Wikipedia).
  • 2011년 8월: SmartOS 오픈소스 전환 (Joyent – Wikipedia). Joyent가 개발한 SmartOS는 Illumos 기반의 클라우드용 하이퍼바이저 OS다. 2011년 8월에 Joyent는 SmartOS 소스를 공개하였으며, 이후 Triton Datacenter 플랫폼의 핵심으로 사용되었다 (Joyent – Wikipedia). SmartOS는 메모리 상에서 부팅되는 설계로 ZFS, DTrace, Solaris Zones(컨테이너) 외에 bhyve/KVM 하드웨어 가상화를 지원한다 (SmartOS – Wikipedia). NetBSD의 pkgsrc를 패키지 관리자로 사용하며, Crossbow 네트워크 가상화 기능과 고가용성 클라우드 환경 구축에 최적화되어 있다. 현재 MNX Solutions가 개발·유지보수하고 있다 (SmartOS – Wikipedia) (Joyent – Wikipedia).
  • 2012년 4월: OmniOS 출범 (Release Notes). OmniTI(OmniOS Labs)가 내놓은 OmniOS는 Illumos 기반 장기지원(LTS) 배포판이다. 2012년 4월 r151002 버전이 첫 출시되었으며, 서버 환경에 초점을 맞춰 최소한의 OS 이미지를 제공한다 (Release Notes). IPS 패키지 매니저를 사용하고, ZFS, DTrace, Solaris Zone 등을 탑재한 모놀리식 커널 구조를 갖추고 있다. 2020년대에도 커뮤니티 에디션(OmniOS CE) 형태로 유지·관리되며, 장기 안정성을 중시한다 (Release Notes).
  • 2012년 10월: Tribblix 발표 (Network Management: 2012.10). Ken “ptribble” Moore(필명 Peter Tribble)가 만든 Tribblix는 Illumos 기반 x86-64 배포판으로, 2012년 10월에 예비 버전이 공개되었다 (Network Management: 2012.10). Tribblix는 전통적인 SVR4 패키징을 사용하며, ZFS 파일시스템을 포함한다. 데스크톱과 서버 용도로 경량화된 디스크 이미지를 제공하며, Illumos의 DTrace, Zone 기능 등을 지원한다. 개발 초기에는 OpenIndiana 패키지를 활용했으며, 현재도 꾸준히 업데이트되고 있다 (Network Management: 2012.10).
  • 2014년: HardenedBSD 프로젝트 시작 (About | HardenedBSD). Oliver Pinter 등이 주도한 HardenedBSD는 FreeBSD를 기반으로 한 보안 강화 포크다 (About | HardenedBSD). ASLR(Address Space Layout Randomization), PIE(Position Independent Executables), PaX 등 익스플로잇 완화 기법을 FreeBSD에 도입하여 커널 구조는 FreeBSD와 유사하지만 보안 계층을 추가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clean-room 방식으로 Linux의 grsecurity 패치를 BSD로 재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FreeBSD 및 관련 프로젝트와 협력하며 보안 패치를 활발히 개발 중이다 (About | HardenedBSD).
  • 2015년: OPNsense 첫 출시 (OPNsense – Wikipedia). 네덜란드 Deciso사가 개발한 OPNsense는 2015년에 pfSense를 분기해 만든 FreeBSD 기반 방화벽/라우터 OS다 (OPNsense – Wikipedia). GUI는 Qt/PHP로 작성되었고, 자체 인증 시스템을 갖춘 오픈소스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pf 방화벽 엔진을 사용하며, pfSense와 달리 BSD 라이선스를 유지하고 패키지 저장소를 제공한다. HardenedBSD의 보안 강화 기능 일부를 통합하였고, Zone 방식의 가상화나 VPN, IDS/IPS 기능도 지원한다. 현재도 지속적인 업데이트로 커뮤니티와 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OPNsense – Wikipedia).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